사람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그 원인이!
사실, 사람이 성장하는 과정에서 그 계기와 원인의 대부분은 숨겨져 있습니다. 그래서 사람의 성장과 눈의 구조 사이의 관계를 살펴 보겠습니다.
우선 아기의 시력입니다. 출생시 아기의 시력은 0.02~0.05 정도로, 20~30센티 이상 떨어진 것이 흐릿해 보이는 정도입니다.
매일 물건을 보면 아기는 조금씩 시력을 발달시켜 갑니다. 안구 자체의 성능은 어른의 것과 그렇게 변하지 않지만, 눈으로부터 들어오는 정보를 처리하는 대뇌(시각야)의 기능이 미발달인 탓에, 아직 물건을 분명하게는 인식할 수 없습니다.
1세 때 시력은 0.3 정도. 허리가 휘어지면 아기의 시점이 높아지고 깊이와 높이, 물건의 입체감과 거리감을 시각 정보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시력은 2세에 0.5정도까지 발달하지만, 어른 수준의 시력을 획득하게 되는 것은 더욱 성장하고 나서입니다.
서서 걸을 수 있게 되면, 아이의 시점은 더욱 높아집니다. 이런 식으로 어른과 비슷한 시야가 펼쳐집니다. 6세가 되면, 대부분의 아이가 1.0의 시력이 되어, 이 무렵에 시력이 완성한다고 합니다. 물건을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양안시 기능도 6~8세에 완성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보면 시력은 신체의 발달에 비해 상당히 빠른 시기에 완성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역시 근시가 시작되는 시기도 빠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력 1.0 이하의 저시력자 비율은 해마다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아이의 시력 1.5와 2.0은 드문 일이 아니다?
실은 시력의 완성을 맞은 아이의 눈은, 본래 매우 잘 보이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아이는 안축(수정체로부터 망막까지의 길이)이 어른보다 약간 짧고, 멀리를 볼 때라도, 초점은 제대로 맞지 않고, 망막의 뒤에 어긋나 있는 것이 많습니다. 요컨대, 원시 상태에 있는 경우가 많다는 것입니다. 사실 아이의 시력 1.5와 2.0은 매우 드문 일이 아닙니다. 그리고, 성장과 함께 아이의 안축은 늘어나기 시작해, 정상 눈으로 되는 상태가 되어 가는 것입니다.
이러한 아이들이 어른의 정상적인 눈을 획득하기 전에, 습관적으로 책상을 향해 너무 공부하거나, TV 게임에 열중해 화면을 계속 보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요?
성장기의 아이의 눈은, 환경에 대한 적응 능력이 높기 때문에, 모양체의 힘으로 수정체를 그다지 두껍게 하지 않아도 근처가 보이도록, 안구 그 자체를 적응시켜 버립니다.
예를 들어, 각막의 커브가 강해지도록 변화시켜 볼록 렌즈 효과를 증가시키거나, 눈축을 보다 길게 늘림으로써 가까이를 보이기 쉽게 하거나, 눈의 구조 그 자체를 환경에 맞추어 변화시켜 버립니다 . 섬모체근이라는 근육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눈 모양을 환경에 적응시켜 보이기 쉽게 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가까이를 보기 쉽도록, 안구의 적응이 진행되어 가면, 이번은 반대로, 멀리가 보이기 어려운 눈이 되어 갑니다. 가성 근시의 상태입니다.
가성 근시는 너무 오랫동안 가까이를 보지 않도록 유의하는 것만으로, 어느 쪽은 낫다고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바로 안경이나 콘택트 렌즈로 교정해 버리면 잘 회복해주지 않습니다.
섬모체근의 작용을 바탕으로 되돌리는 일 없이, 수정체를 두껍게 한 상태인 채 편하게 멀리가 보이도록 교정해 버리면, 눈은 그 상태에 적응해, 진짜의 근시가 되어 버립니다.
시력 저하가 정상화하기 전에 대책을.
또, 가성근시의 상태를 방치해, 장시간, 가까이를 응시하는 것을 매일 계속하고 있으면, 섬모체근이 피폐해 일하지 않게 되어, 두꺼워진 수정체를 통상의 상태로 되돌릴 수 없게 되어 버립니다 . 이렇게 되면 조금 눈을 쉬게 해도 원래대로 시력을 되찾는 것은 힘들어지게 됩니다.
시력 저하가 정상화되기 전에 시력 회복을 도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옥외에서 놀 시간이 긴 아이일수록 근시가 되기 어렵다!
호주 시드니와 싱가포르에 사는 중화계의 6세와 7세의 아이들을 비교했는데, 부모의 근시의 비율은 거의 동일(적어도 아버지 또는 어머니의 약 70%가 근시)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아이의 근시 비율은 싱가포르(29.1%) 쪽이 시드니(3.3%)보다 8배 이상 많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시드니의 아이들은 일주일에 평균 14시간 밖에 지내고 있었지만, 싱가포르의 아이들은 일주일에 평균 3시간밖에 지나지 않았다.
밖에서 무엇을 하는지는 관계가 없을 것 같습니다.
옥외에 있는 시간이 1일 2시간의 아이는, 근시가 될 확률이 하루에 1시간 미만의 아이의 4분의 1인 것을 알고 있습니다.
실내에서 스포츠를 해도 시력 발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부모가 근시가 아닌 아이보다, 부모 모두 근시의 아이 쪽이, 옥외에서 활동하면 근시가 되기 어려워집니다. 이로부터 근시와 관련된 유전자는 환경의 영향에 대한 감도와도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됩니다.
흥미롭게도, 야외에서의 시간은 11세에서 12세 사이의 아이들에 비해 6세 아이에게 더 강한 효과를 보였다. 사람이 보는 힘의 발달은 6~10세 정도로 거의 끝난다고 합니다. 그만큼, 3세부터 6세 무렵은 시력의 발달에 있어서, 일생에 관계되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야외 시간을 포함한 환경에 대한 영향이 더 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